본문 바로가기
따뜻한 정보글

대한민국 성씨 순위 알아보자

by 따뜻세라 2025. 5. 7.
반응형

한국에서 성(姓)씨는 진정 얼마나 있을까요? 한국에서는 여러 종류의 성씨를 지닌 국민이 살아가는 주민들입니다. 하지만 살아가면서 주위나 TV에서 처음듣게 된 드문 성씨를 보신적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면 이 나라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고 있는 성은 무엇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요즘 한자로 성명을 사용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한글로 표기하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또한 예를 들면 '이 성씨'를 보면 동일한 '지역 성'과 '본관'으로 구분되기 때문에 여러 '이 성'이 있는 것입니다.

우리가 살면서 제일 자주 들은 '김''이''박''최'를 우선으로 손꼽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생각한 것보다 더 많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요즘 우리나라는 250개 이상의 성이 존재하며 확실히 가장 많은것은 바로 '김'씨 입니다. 그 다음으로는 우리나라 성 순서를 조사해보고 나는 몇 위를 차지했는지도 궁금하실 것 같습니다.

 

음(陰), 온(溫), 사공(司空), 시(施), 범(范), 선우(鮮于), 승(承), 좌(左), 설(薛), 팽(彭), 간, 상(尙)(尙), 갈(葛), 서문(西門), 견(堅), 단(段), 순(順), 당(唐),창(昌), 옹(雍), 화, 빙, 종(宗), 대(大), 풍(風), 궁, 엽, 아(阿), 평(平), 독(獨)고(獨孤), 내(內), 판(判), 리(李), 초(楚), 매(梅), 궉(郭), 낭(郎), 동방(東方), 필(弼), 묵(墨), 근, 점(占), 해(海), 탄, 랑(郞), 만(萬), 운(雲), 돈(敦), 곡(谷), 야(夜), 섭, 자(子), 후(侯), 로(盧), 선우(鮮于), 포, 담(譚), 림(林),수(洙), 삼(三), 성, 상(尙)(尙), 학, 요(堯), 안, 묘(妙), 관(官), 등(鄧), 뇌, 려, 뢰(賴), 증(曾), 독(獨), 미(美), 보(保), 비(非), 무(武), 란(蘭), 산(山), 난(難), 망절(望節), 어금(魚金), 다, 무(武)본, 번(繁), 완(完), 등(鄧)정, 탕(湯), 황목 등(鄧) 200개가 넘게 있고 삼국지에서 볼법한 우리나라 희귀성씨가 의외로 많다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한국의 5분의 1이 넘는 '김'씨가 우리나라에서 제일 많고 1위 순위는 단연 김씨로 1000만명이 넘습니다. 두번째는 이씨가 700만명 이상 보유하고 있으며 3위는 박씨로 400만명이 넘습니다. 인구의 1/3을 넘는 1위, 2위, 3위만 보아도 주위에 정말 많은 사람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언급된 순위 이외에도 한국은 '지역이름+성씨'로 이해할 수 있어서 같은 지역의 성으로 계산하면 또 많이 구분된다고 합니다. 옛날부커 전통에 따라 쓰였던 것에 대한 견해로 오래전까지 같은 성과 본관을 가진 사람들 간에는 혼인이 허용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동성동본이라고 하여 성과 본관이 같은 경우라고 하지만 2005년 3월 본격적으로 폐지되면서 동일한 성씨여도 본관이 다르거나 본관이 같은데 성씨가 다를 경우 결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본관에 따른 순서로 1위부터 10위를 알아보겠습니다.

1위 김해 김

2위 밀양 박

3위 전주 이

4위 경주 김

5위 경주 이

6위 경주 최

7위 진주 강

8위 광산 김

9위 파평 윤

10위 청주 한

이렇게 살펴보면 경주 지역에서 많은 후손들이 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역사와 전통이 담겨져 있다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 많은 성들을 보고 자신의 존재에 대해서 조상에게 감사함을 느끼게 되고 많은면 많은대로 자긍심을 가지게 되고 빈도가 적어도 작은 규모에 대한 희귀성에 자긍심을 느낄 수 있을것이라고 생각합합니다. 다 통계를 확인하면서 한국에 참 많은 성씨들이 있구나 다시한번 놀라게 되는 시간이었습니다.

반응형